강의
Netplix 구독형 멤버십 프로젝트로 배우는 Spring Security
https://fastcampus.co.kr/dev_online_netflixproject
Netplix 구독형 멤버십 프로젝트로 배우는 Spring Security | 패스트캠퍼스
실제 프로덕트 수준의 넷*릭스 서비스 개발로 끝장내는 인증 & 인가!
fastcampus.co.kr
헥사고날 아키텍처 + 멀티모듈 + 모노레포 (리액트 프론트엔드 코드 포함) + api / batch app 예제 코드가 마음에 든다.
나중에 신규 앱을 만들 때, 초기 프로젝트 모델로 사용하기 딱 좋아보인다.
책
팀 토폴로지
https://americanopeople.tistory.com/469
매튜스켈톤/마누엘페이스: 팀 토폴로지
콘웨이의 법칙과 중요성"콘웨이의 법칙"이란 프로그램의 구조는 그것을 제작하는 조직의 구조를 반영한다는 것을 말한다. 역콘웨이 법칙이란?조직이 바라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구성하려
americanopeople.tistory.com
구매한지 3년된 책인데 겨우 겨우 읽는 중이다.
스프링 5 프로그래밍 입문
두번째 읽는 책이다. 그런데 이번에도 DB 챕터 이후는 읽지 못했다. Spring boot 이전에는 어떻게 설정을 했었는지 다시 감을 잡는 용도로 봤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
후루룩 읽었다.
아티클
How to Streamline Your Development Workflow with Merge Request Bot
How to Streamline Your Development Workflow with Merge Request Bot
by Abinasha Biswal
medium.com
코드 리뷰의 리드 타임을 줄이기 위해, 봇으로 리뷰어를 자동으로 지정하고 알림을 줬던 사례에 대한 글이다. 휴가자는 워크데이나 슬랙의 이모지를 참고하여, 리뷰어를 할당한다는 점이 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난 이런 아티클을 보면 기술적인 내용보다 부수적인 내용들에 관심이 생긴다.
아고다 코어 서비스를 10명 이내의 개발자가 관리하지만, 30개 이상의 팀에서 앱에 기여를 한다거나.. (앱 담당자와 실제 기여자가 분리된 모놀리틱 서비스로 예상하는중..) 아고다 레포지토리가 250여개 이상이고.. 500명 이상에게 MR 리뷰가 간다는거 보면.. 대충.. 조직의 규모가 예측된다.
Choosing the Right Candidates for Lodging Ranking
Choosing the Right Candidates for Lodging Ranking
How Expedia Group ranks website search results
medium.com
Meeting the scale challenge in the cloud: lessons from the CRM platform migration
Meeting the scale challenge in the cloud: lessons from the CRM platform migration
As a developer on Tripadvisor’s CRM platform team, I found myself in the thick of a massive shift: moving our infrastructure to Amazon Web…
medium.com
트립어드바이저에서 "내부 마케팅 플랫폼 -> 외부 마케팅 플랫폼 도입", "aws 플랫폼 마이그레이션"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겪었던 내용이 적혀있다. 이 플랫폼에서는 spring cloud gateway이 적용되었고, 앞단에 redis (elasticache)를 사용한 rete limiter(처리율 제한 장치)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높은 트래픽이 들어왔으나, rete limiter에서 이를 처리하지 못하고 5xx을 계속 리턴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고 한다.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redis를 붙기 위해 사용한 CDK (aws cloud development kit)가 네트워크 성능이 떨어져서, 처리를 제대로 못하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AWS WAF을 사용하여 시스템에 도달하는 요청 속도를 제한했다고 한다. rate limiter가 일반적인 트래픽 처리에서는 유용하나, 갑작스러운 트래픽 급증이나 ddos 처리에서는 부족하단걸 알았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에 rate limiter 자체가 SPOF (단일 장애 지점) 이었어서, WAF를 사용하는게 유용했다고 한다.
---> 트립어드바이저도 AWS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등의 작업을 이제 진행하고 있단게 기억에 남는다.
The Perils of Deprecating a Legacy Microservice
https://medium.com/expedia-group-tech/the-perils-of-deprecating-a-legacy-microservice-febfa3e9f6cc
The Perils of Deprecating a Legacy Microservice
How deprecation of a simple caching service led us on a journey of modernizing our Flights Details stack
medium.com
상품 상세의 서비스를 리팩토링한 과정을 설명한 블로그다. 익스피디아도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개편하려고 하고 있고, 외부 공급사에 동일한 호출을 과도하게 보내지 않으려고 한 점이 인상깊다.
나도 비슷한 작업을 한 적이 있어서 똑같다 싶었다.
'관심사 > IT와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duct catalog란? (0) | 2022.09.08 |
---|---|
(넷플릭스) Growth Engineering at Netflix — Accelerating Innovation ( 작성중 ) (1) | 2018.06.27 |
커머스 업계 트렌드 찾아보기 - 미디어 커머스 (0) | 2018.04.22 |
(넷플릭스) 오프라인 다운로드 기능으로 변경된 라이센스 관리 방식 (0) | 2017.11.23 |
(좋아하는 It 서비스) 왓챠플레이! (0) | 2017.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