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왜 그렇게 끈덕지게 자신의 일에 매달렸을까? 그들 대부분이 사실상 달성이 불가능해 보일 만큼 큰 야망을 품고 있었다. 그들의 눈에는 자신이 늘 부족해보였다. 그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사람들과는 정반대였다. 그럼에도 불만을 가지는 자신에게 정말로 만족을 느꼈다. 그들이 해야만 하는 일 중에서 일부는 지루하고 좌절감을 안기고 심지어 고통스럽다고 해도 그들은 추호도 포기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들의 열정은 오래 지속됐다.
분야에 상관없이 성공한 사람들은 굳건한 결의를 보였고, 이는 두 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첫째, 그들은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그들은 결단력이 있고, 나아갈 방향도 알고 있었다. 성공한 사람들은 열정과 끈기가 있었다.
제 2장. 우리는 왜 재능에 현혹되는가?
"놓치기 쉬운 일들을 알아차리고 주의 깊게 관찰하는 데는 내가 보통 사람들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성실히 관찰하고 사실을 수집하는 점은 더항 나위 없이 훌륭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보다 훨씬 중요한 점은 자연과학에 대한 나의 꾸준하고 열렬한 사랑이다." - 다윈
제 3장. 재능보다 두 배 더 중요한 노력
모든 완전한 것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생겨났는지 묻지 않는다. 니체는 말했다. 대신 우리는 마치 그것이 마법에 의해 땅에서 솟아난 것처럼 현재의 사실만을 즐긴다.
캐럴은 농구부 코치로 10번의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전설적인 존 우든의 책들을 닥치는 대로 읽었다.그 중 팀이 잘해야 할 일은 무수히 많지만 그것들을 아우르는 비전을 확실히 제시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대목이 가장 와 닿았다.
"명확하게 서술된 철학은 궤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지침과 범위를 제공합니다"
캐럴의 이야기를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은 목표를 위계화하는 것이다. 위계화된 목표의 맨 아래에는 가장 구체적인 목표가 온다. 예컨대 "오늘은 오전에 요가를 해야겠다" 등과 같은 단기적으로 해야 할 일들이다. 이런 하위 수준의 목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하위 목표를 달성하려는 이유는 단지우리가 원하는 또 다른 목표를 얻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서 위로 갈수록 더욱 추상적이고 일반적이며 중요한 목표가 된다. 상위 목표일수록 그 자체가 목적이고, 하위 목표일수록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된다.
최하위 목표와 최상위 목표 사이에는 여러 수준의 중간 목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8시 전에 집을 나서기는 하위 목표다. 이 목표는 정시 출근이라는 중간 목표 때문에 중요하다. 왜 시간을 엄수하려고 하는가? 시간 엄수는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존중하는 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것이 왜 중요한가? 훌륭한 지도자가 되고 싶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왜?"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고 "왜냐하면.."이라는 답변을 계속 해나가다 보면 목표의 위계에서 최상위 목표에 이르게 된다. 최상위 목표는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그 자체로 목적이다. 일부 심리학자는 최상위 목표를 "궁극적 관심 (ultimate concern)"이라고 부른다. 나는 최상위 목표를 모든 하위 목표에 방향과 의미를 제공하는 나침반으로 생각한다.
"당찬 포부"에 숨겨진 문제점
흔히, 중간 수준의 목표만 여럿이고, 이를 통합해줄 상위 수준의 목표가 없다.
또는 상충하는 몇 개의 목표 체계를 갖고 있지만 이들 간에 아무런 관계도 없는 경우가 있다.
목표의 상충은 어느 정도 인간이란 존재의 불가피한 특징이다. 예를 들어 직업인으로서의 목표 체계와 가족 내에서의 목표 체계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목표의 달성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다수의 중간 목표와 하위 수준의 실천 목표들을 줄여나갈 수도 있다고 본다. 그리고 직업상 상위 목표는 여럿이 아닌 하나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한다.
워런 버핏이 말한 우선순위를 정하는 3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직업상 목표 25개를 쓴다.
둘째, 자신을 성찰해가면서 그중에 가장 중요한 목표 5개에 동그라미를 친다. 반드시 5개만 골라야 한다.
셋째, 동그라미를 치지 않은 20개의 목표를 찬찬히 살핀다. 그 20개는 당신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피해야 할 일이다. 당신의 신경을 분산시키고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고 더 중요한 목표에서 시선을 앗아갈 일이기 때문이다.
'관심사 >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 드마르코 + 티모시 리스터 <피플웨어> - 2부 요약 (0) | 2018.06.19 |
---|---|
톰 드마르코 + 티모시 리스터 <피플웨어> - 1부 요약 (0) | 2018.06.16 |
애시 모리아 <린 스타트업> (1) | 2018.06.06 |
대니얼 네틀 <성격의 탄생> (0) | 2018.04.17 |
제럴드 와인버그 <프로그래밍 심리학> 8장-10장 요약 (2) | 201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