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도커) docker component 쓰기 Docker component란?여러개의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를 정의하고, 관리해주는 도구이다. Docker Component 실행하기 docker-compose start 이 명령문을 실행하면, 세트로 묶여있는 컨테이너가 동시에 시작된다. Docker Component 끄기docker-compose stop 이 명령문을 실행하면, 세트로 묶여있는 컨테이너가 동시에 꺼진다. 컨테이너를 하나하나 끄고 싶을 때는 container stop을 하면 된다. [git] REFLOG - REBASE 취소하기 REBASE를 취소하는 방법잘못 리베이스된 git이 remote까지 반영된 경우, 이걸 취소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reflog와 reset을 사용하면 된다. 1. git reflog 브랜치명이 명령문은 잘못 리베이스한 로컬 컴퓨터에서 실행해야한다. 그래야 리베이스 로그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명령문은 그냥 로그를 보는 거여서, 막 쳐봐도 된다. 무서워할 필요 없다. 2. git reset -- hard 128e6d4reflog를 보고, 돌아가고 싶은 커밋명을 찾는다. 그다음 그 커밋명을 위에 명령문처럼 쓰고, 이전 커밋 이력을 모두 reset한다. 3. git push -f origin 브랜치명이렇게 리셋한 커밋이력을 리모트로 강제 푸시를 해야한다. 그러니 -f 옵션을 추가한 후, git pu.. TDD와 테스트코드의 장점 회사 내에서 Ruby On Rails 테스트 코드인 Rspec을 공유하는 세션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TDD를 하고,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면서 경험한 장점들을 정리해봤다. TDD의 장점 이미지 참고 1. 단계별로 어떤 기능을 구현해야하는지 쉽게 정리할 수 있다나는 기능 구현을 할 때, 필요한 테스트 항목들을 Description으로 나열한다. 그러면 내가 어떤 기능을 단계적으로 만들야하는지 정리할 수 있다.TDD를 하면, 테스트 케이스를 기능 구현과 동시에 작성하게 되는거다. 그러다보니 예외 케이스를 빨리 인지할 수 있다. 2. 개발 사이클이 짧아진다테스트를 자동화하면, 기대하는 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다보면 개발 주기가 짧아진다.서버 개발을 할 때, 주로 API를 구현한다. 그래서 이걸 테스트하.. (Strangler Pattern/스트랭글러 패턴) 레거시 코드를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개선하기 Strangler Pattern모놀리틱 아키텍처로 된 시스템이 계속 자라나면, 더이상 관리할 수 없는 수준이 된다.그리고 아키텍처가 복잡해지거나, 비즈니스 로직이 파편화되면 코드를 관리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다보면 배포하기도 까다로워지고, 배포가 무서워지기도 한다. 이럴 땐 버티거나, 서비스 아키텍처로 코드를 리팩토링해야한다. 서비스 아키텍처로 서비스를 한번에 옮기는 것은 리스크가 있다.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돌아가면서, 점진적으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코드를 분리해나가는 디자인 패턴이 Strangler Pattern이다. 개선 방법1. 분리해내야하는 도메인을 Service Layer으로 리팩토링을 해야한다. 2. 그리고 분리해낸 도메인의 API가 호출되면, Proxy 단에서 라우팅을 분기처리해준다. 3. 신규.. (AWS) S3 SELECT - S3 파일에 쿼리 날려서 필요한 데이터만 다운받기 AWS S3 SELECT란? AWS s3 / glacier에 저장된 데이터에 쿼리를 날려서, 필요한 데이터만 다운받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2018년 3월 기준, glacier select는 모든 리전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s3 select는 아직 프리뷰 상태이다. 프리뷰버전에서는 CSV와 JSON 포맷만 지원한다. 그리고 압축 포맷으로는 GZIP만 지원한다. 샘플 코드 import boto3 from s3select import ResponseHandler class PrintingResponseHandler(ResponseHandler): def handle_records(self, record_data): print(record_data.decode('utf-8')) handler = Pri.. (번역)Command 아키텍처 기반으로 루비온 레일즈의 Controller Action 리팩토링하기 REFACTORING CONTROLLER ACTION IN RUBY ON RAILS 레일즈 컨트롤러가 뚱뚱해지는 현상을 꽤 많이 봤었다. Medium 눈팅하다가, 레일즈 컨트롤러를 리팩토링했다는 글을 발견했다. 뭔 내용인지 궁금해서 ㅋㅋ 읽어본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컨트롤러는 얄쌍하고, 모델은 뚱뚱하게 로직을 짜는게 루비온레일즈의 MVC 기본 원칙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다 보면, 프로젝트는 점점더 커지고 메서드도 늘어난다. 그러다 보니 코드를 찾거나 신규 피쳐를 추가하는게 어려워진다. 그러다 결국 컨트롤러는 더이상 얄쌍해지지 않게 되고, 복잡해진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Controllers 우리는 컨트롤러에 코드가 몇백줄이나 되는걸 원하진 않는다. 그래서 가장 좋은 방법은 다.. (읽을거리)루비온레일즈 개발자를 위한 DDD 읽을 거리medium 포스팅Ruby on rails DDD => 읽어보니 루비에서는 어떤 느낌으로 DDD를 쓰는지 감이 온다 공식적인 느낌이 드는 ddd-ruby 사이트ddd-ruby.github.io레일즈 앱에서 비즈니스 도메인을 어떻게 관리할 건지 토론하는 페이지 Struggling with complex Rails app and business domain?2012년도에 작성된 sitepoint 포스팅 시리즈 DDD for Rails Developers. Part 1: Layered ArchitectureDDD for Rails Developers. Part 2: Entities and ValuesDDD for Rails Developers. Part 3: Aggregates스크립트 언어의 DDD ..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 (ver.2017) 백그라운드최근 팀이동을 하면서, 일하는 방법이 달라졌다. 그래서 2017년도에는 어떤 방식으로 일했었는지 기억하기 위해, 글로 남기고자 한다. 가상의 문제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생각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가상의 문제를 정하려고 한다.사용자가 광고주 앱에서 LIKE를 누른 상품을 인스타그램에서 광고로 보여주는 다이나믹 광고 상품을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해보자. (지하철포스팅) 인스타그램은 어떻게 내가 찜한 상품을 광고로 보여주는 걸까? - 페이스북/인스타그램에 있는 Dynamic AD를 만들어야한다고 상상해보자 ㅎㅎ 과제의 시작 (1) - 백로그 미팅잡기"프로젝트를 시작하자!"라고 결심하면, 백로그를 만들고, 스토리 포인트를 산정하기 위한 미팅을 잡는다. 백로그 미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프로젝트의..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1 다음